"벼루 반 만한 고철을 갓 태어난 아기 대하듯 어루만지고
염모하는 이를 대하듯 소중히 지니는구나
시커멓기도하고 시퍼렇기도 한 것이 아주 널리 쓰일 모양이다."
드라마 도깨비 11화에 보면
도깨비 공유는 과거에 있으면서 간혹 미래의 모습이 보인다면서
자신이 본 것을 이렇게 설명합니다.
이게 뭘까요?
힌트 그림
정답은 바로 스마트폰입니다.
드라마 본 분들은 바로 알았겠죠?
당시 사람들이 널리 퍼져 있는 인식,
생활 양식, 자주 쓰는 물건 등이 과거와 지금이 완전히 다릅니다.
이게 시대라는 것입니다.
따라서 과거를 볼 때, 미래를 볼 때에 중요한 점은
그 당시 시대에 널리 퍼진 정신, 생각을 함께 고려하여 판단을 해야됩니다.
이것이 과거를 판단하고
동시에 미래를 보는 기본이라 생각합니다.
'미래 준비 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중국 총리, "고구려, 발해는 한국의 역사"-개드립펌 (0) | 2019.06.03 |
---|---|
철인? 영능력자? 예지자에도 유형이 있다? (0) | 2017.07.12 |
책 소개 -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(0) | 2017.07.06 |
갈등, 염표문에 답이 있다. (0) | 2017.06.29 |
인공지능의 잠재력은 어디까지일까? 인공지능, 목적 이루려 스스로 언어 개발 (0) | 2017.06.26 |